Git/GitHub 저장소 및 생성 방법 (+ Gitignore)
* 저장소(Repository) 란? 파일 또는 폴더를 저장하는 곳
- Git 저장소 : 파일이 변경될 때마다 파일의 변경 부분을 포함한 모든 파일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, 변경된 부분만 이력별로 구분되어 저장이 된다.
- ’snapshot’ : 파일이나 폴더가 변경된 순간의 상태를 사진을 찍듯 저장하는 것을 의미
* Local Repository
- 내 PC에 파일, 폴더가 저장되는 개인 저장 공간
- Local Repository 생성하는 방법 (git init 명령어 사용하여 초기화하는 것이다.)
① Local Repository 생성 방법 (git 초기화)
- 프로젝트 폴더 생성
- 경로 : 해당 폴더 > git init 명령어 입력
- ls를 통해 생성된 [.git] 폴더 확인
※ ) Local Repository를 생성한(=초기화한) 이 폴더 자체는 Working Directory에 해당.
[.git] 안에 있는 Local Repository의 정보들. 즉, config(설정), 변경 이력 등으로 인해서 초기화하는 행위 자체를 Local Repository라고 할 수도 있는 것.
따라서 [.git] 이 local Repository이고, 폴더에 있는 소스들이 Working Directory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있다.
② Local Repository 생성 방법 (원격저장소)
- 원격저장소(Remote Repository)에 있는 프로젝트 복사 후, 내 pc로 옮김 > [.git] 폴더 생성
* Remote Repository
- github 전용서버에서 파일이나 폴더가 관리되며, 협업 등으로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는 공간
① Remote Repository 생성 방법 (github)
- github 사이트 접속 - 로그인
- ‘Create repository’ or 내 계정 > ‘Your repositories’ > new
- - Owner : 본인
- Repository name : 원하는 프로젝트 명 (특수문자 x, 이름 중복 x)
- Description : 사용 용도 (For Study 등)
- public : 제삼자에게 소스 공개(opensource) / private : 허용한 대상자에게만 소스 공개, 협업 대상자 등
- (option) Add .gitignore : gitignore를 추가할 경우, 템플릿이 제공됨 (ex. Node.js를 지정할 경우, Node.js의 gitignore 템플릿을 자동적으로 생성해 줌) - 생성 완료
ex) ‘Create repository’ / ‘Your repositories’ > new
ex) Owner ~ (option) Add .gitignore
* Gitignore 이란?
- 관리가 필요 없는, 쓸데없는 용량이 큰 파일이나 비밀번호가 걸려있는 파일 등 commit(등록) 하지 않길 원하는 파일 목록
- .gitignore 파일에 git의 관리를 원하지 않는 파일 목록을 저장하면, 이 파일들은 커밋이나 어떤 행동을 취해도 영향을 받지 않음
'Git &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/GitHub] 터미널에서 Git 명령어 사용하기 (0) | 2023.02.06 |
---|---|
[Git/GitHub] Merge, Conflict, Fork, Pull Request (0) | 2023.02.05 |
[Git/GitHub] 소스트리(Sourcetree)로 Clone하는 방법 (1) | 2023.01.20 |
[Git/GitHub] 기본 동작 원리 (순서 - 선형적 구조) (0) | 2023.01.17 |
[Git/GitHub] 깃 설치 및 ssh key 생성 후, 깃허브에 등록하기 (0) | 2023.01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