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 & Github

[Git/GitHub] 기본 동작 원리 (순서 - 선형적 구조)

진기명기 2023. 1. 17. 23:42

 

 

* Git / GitHub 기본 동작 원리 (순서 - 선형적 구조)



* git에는 총 4가지의 공간이 있으며, 이 4가지의 공간이 서로 파일의 변경 사항을 주고받는 것이 기본 원리
***주의!) 중간에 단계를 뛰어넘을 수 없음


Working directory : 작업하는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 (소스코드 작업을 하고 있는 디렉터리 자체를 의미)
      * 명령어 : git add
     * 명령어를 통해 변경된 사항, 파일 등을 Staging Area로 올림

Staging Area : git에 등록할 (커밋) 파일들이 올라가는 영역(git에 등록하기 전에 변경사항이 있는 파일, 폴더 등을 등록하는 공간)
     * Staging Area에 올린 파일들 중 git에 등록하고 싶은 파일을 선택
      * 명령어 : git commit
     * 명령어를 통해 Local Repository에 올림

Local Repository : 로컬 git 프로젝트의 메타데이터와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
     (Staging Area에 올린 것들을 Local Repository에 올리면 git에 등록된 것 = git 프로젝트 = git 저장소)

    // 여기까지가 로컬에서의 저장 (내 pc에 저장)

      * 명령어 : git push
     * 명령어를 통해 다른 사람들도 사용할 수 있게 Remote Repository로 등록

Remote Repository : github 등의 서비스를 통한 온라인 상의 저장소 (원격 저장소)

 

    // 온라인상의 저장소로 로컬이 아닌, 협업 등을 할 때 사용하는 공간. 변경사항, 삭제 등을 기록하며 관리

     * 명령어 : git fetch
     * Remote Repository에서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된 사항들을 Local Repository로 가져옴.

     * git merge란?
       ▷ Local Repository > Staging Area > Working Directory
       ▷ git fetch 명령어 통해 정보를 가져오면 Local Repository Working Directory 같은 폴더 안에 있기 때문에, 변경된 사항들이 소스코드에 바로 반영이 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