❗️ 해시함수를 사용하면 빠른 속도로 특정 값을 신속하게 찾아 성능을 높일 수 있지만, 충돌이 일어날 수 있어 이를 항상 대비하며 사용해야 한다. 충돌이란?! 아래에서 다뤄보고자 한다. 지난 포스팅을 통해 해시함수 메서드를 확인해 보자 ⬇️⬇️⬇️ https://cyjcyj.tistory.com/122 [자료구조] 해시함수(Hash Function) 메서드 구현 🙃 지난 포스팅에서 해시함수에 대해 간단한 특징과 생성자 함수를 구현을 해보고, 직접적으로 key 값을 charCodeAt()을 통해 해당 index로 변경하여 지정한 공간에 누적시키는 코드를 실습했다. 이 cyjcyj.tistory.com ❗️ 충돌(Collision)이 생긴 경우 ex) YJ, SH를 해시함수로 변경한 경우, 둘 다 2로 변경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