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 3

[Git/GitHub] Sourcetree 사용하기

💁‍♀️ 팀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Sourcetree로 깃을 관리하게 되었다. 1월에 깃/깃허브 & 소스트리 강의를 듣고, 정리해 놓긴 했지만 그때 이후로 한 번도 써보지를 않아서.. (반성해라 나 자신) 이번 기회에 간단하게 정리해보는 Sourcetree 사용법! 📌 Sourcetree란? ✅ 저장소 관리, 변경 사항 시각화, 커밋 및 푸시, 충돌 해결 등의 중요 기능 제공 👉🏻 사용자 친화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(GUI)를 제공하여 Git 저장소를 관리하고 시각화함 말 그대로 소스트리를 사용하기 전까지는 터미널을 통해 'git add .' ➡️ 'git commit -m 'hi''...처럼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여 깃/깃허브를 관리했다면 소스트리에서는 버튼 한번 누르는 것으로 주요 기능들을 실행할 ..

Git & Github 2023.07.01

[Git/GitHub] 터미널에서 Git 명령어 사용하기

* 터미널에서 Git 명령어 사용하기 * sourcetree가 아닌 터미널에서 git 명령어를 사용해 보자 > git은 명령어로 구성되어 있음 > 입력 형식 : git의 명령어 + [옵션] ① Clone(클론) 명령어 - 입력 형식 : git clone [원격 저장소 주소] ② 저장소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 - 입력 형식 : git status - git의 commit or add or push 등의 action을 취한 후, git status로 git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 ③ Working directory > Staging area로 등록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- 입력 형식 : git add [파일 경로] - 입력 형식 : git add -i (추가되지 않은 파일들 모두 한 번에 Stagin..

Git & Github 2023.02.06

[Git/GitHub] Merge, Conflict, Fork, Pull Request

* Git을 다루는 명령어 : Merge, Conflict, Fork, Pull Request ▼▼▼ ① Merge : 각각의 브랜치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에 통합 브랜치(Main)에서 하나로 모아져 합치는 작업(브랜치 끼리합치는 작업) : 내 Local Repository의 변경사항을 Working Directory에 합치는 작업 (도 merge에 해당) * Sourcetree에서 Merge를 실행해 보자 ex) main 브랜치에 새로 작업한 feature2 기능을 합칠 경우 1) main 브랜치 check-out 되어 있는지 확인 2) feature2 브랜치 마우스 우 click - ‘Merge feature2 into main’ (= feature2 브랜치를 main 브랜치에 합침) 3) merge ..

Git & Github 2023.02.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