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료구조 알고리즘 3

[자료구조] 데크(Deque) 특징 및 메서드 구현 실습

🥹 내겐 너무 어려운 자료구조.. 이번에는 데크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. 이렇게 계속해서 자료구조 & 알고리즘에 대해 알고 생각하면 다양한 코딩 문제를 풀 때, 조금 더 쉽게 접근하고,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. (잘 써먹으려고 노력해야지..! 🥹) 🫠 데크(Deque)란? > Double-Ended Queue 약자로, 양 끝에서 추가 / 삭제가 모두 발생할 수 있는 선형 자료 구조 > like stack + Queue 느낌..! 🫠 데크의 생성자 함수 및 기본 메서드 구현 // Deque() function Deque(array = []){ this.array = array } // getBuffer() Deque.prototype.getBuffer = function(){ return this.ar..

[자료구조] 원형 큐(Circular Queue) 메서드 구현 실습 (2)

🫠 ㅎㅎ.. 지난 시간에 이어 원형 큐 메서드에 대해서 작성하려고 한다. 저번 시간에 내가 이해한 부분을 설명하느라 힘을 쫙.. 빼버렸기에(뭐 얼마나 잘 설명했다고ㅠㅠ)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볍게 계속 작성해 왔던 메서드를 구현해보고자 한다! ❗️ 지난 시간 포스팅 확인 ⬇️⬇️⬇️ https://cyjcyj.tistory.com/116 [자료구조] 원형 큐(Circular Queue) 특징 및 메서드 구현 실습 ❗️❗️ 자료구조 & 알고리즘 코드를 보면서 응? 왜 이렇게 되지? 뭐지? 하면서 강의를 계속 돌려본 건 원형 큐 강의가 역대급인 것 같다.. 정말 별것도 아닌걸 내가 모르고 있었다니..! 삽질하면 cyjcyj.tistory.com 🫠 원형 큐 메서드 구현 - front(), dataSize() ..

[자료구조] 원형 큐(Circular Queue) 특징 및 메서드 구현 실습

❗️❗️ 자료구조 & 알고리즘 코드를 보면서 응? 왜 이렇게 되지? 뭐지? 하면서 강의를 계속 돌려본 건 원형 큐 강의가 역대급인 것 같다.. 정말 별것도 아닌걸 내가 모르고 있었다니..! 삽질하면서 알게 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자 한다^^! 이번 포스팅은 나를 너무너무 힘들게 했던 원형 큐 💛 🫠 원형 큐(Circular Queue)란? > 원형 형태를 가지며, 큐의 대표적인 특징은 FIFO(First In First Out) 기반의 선형 자료 구조 > 첫 데이터를 가리키는 head와 가장 끝 데이터를 가리키는 tail을 갖고 있다. 🫠 원형 큐의 생성자 함수 > CircularQueue() : 초기 속성값 설정을 위한 생성자 함수 > array 의 기본값 : [](빈배열), size의 기본값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