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ML 메타데이터 기본 문법
* <head>
→ head는 화면에 나오지 않고, 페이지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구간 (html을 구성하는 조건들을 작성)
* <head>의 주요 요소
① <title> : 브라우저의 제목 표시줄
② <meta> : 빈 요소에 해당하며, name과 content 값을 함께 사용
- name에 지정되는 속성은 많으니, mdn(표준 메타데이터 이름)에서 하나씩 봐보자
* <link>
→ 외부의 리소스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 (가장 많이 쓰이는 css 스타일시트를 가져올 때 등)
- href : 절대/상대 경로 작성
- rel : 현재 시트와 외부 경로로 가져온 파일이 어떤 관계인지 나타냄
* <mime type>
→ html 파일은 외부 리소스를 가져올 수 있지만, 어떤 종류의 문서인지는 알지 못한다. 경로만 지정하여 알려줄 뿐.
따라서 type = "~"을 사용하여, 어떤 문서인지 명시해줄 때 사용
☆ mime type mdn을 참고하자
* <style>
→ style 요소를 html에 바로 사용할 수 있음, But css 스타일시트를 외부에서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이 좋음
* <script>
→ javascript를 가져올 때 css처럼 내부에서 작성하여 사용 가능하고, 외부에서 불러서 가져올 수 있음
※ html의 가장 마지막 부분에 작성 권장. 위에서부터 해석하며 내려오기 때문에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
'프론트엔드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ML 전역속성 정리 (1) (0) | 2022.12.12 |
---|---|
HTML 폼 기본 문법 정리 (2) (0) | 2022.12.10 |
HTML 폼 기본 문법 정리 (1) (0) | 2022.12.09 |
HTML 구조 기본 문법 정리 (1) (0) | 2022.12.08 |
HTML 태그 기본 문법 정리 (1) (1) | 2022.12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