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그래머스 풀이/level1

[Programmers] level 1) 문제 '예산' 풀이

진기명기 2023. 5. 30. 07:35
🫠 Programmers (level 1) 👉🏻 문제 31번 (예산)

✏️ 문제 설명
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.
그러나,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.
그래서 최대한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.
물품을 구매해 줄 때는 각 부서가 신청한 금액만큼을 모두 지원해 줘야 합니다.
예를 들어 1,000원을 신청한 부서에는 정확히 1,000원을 지원해야 하며, 1,0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지원해 줄 수는 없습니다.
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 d와 예산 bud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최대 몇 개의 부서에 물품을 지원할 수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
✏️ 제한사항
d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이며, 길이(전체 부서의 개수)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d의 각 원소는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을 나타내며, 부서별 신청 금액은 1 이상 100,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budget은 예산을 나타내며, 1 이상 10,000,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
✏️ 입출력 예
d budget result
[1,3,2,5,4] 9 3
[2,2,3,3] 10 4

 

 

 

 

 


function solution(d, budget) {
  if(d.reduce((acc, item) => acc + item, 0) === budget) return d.length
    
  let dSort = d.sort((a, b) => a - b)
    
  let result = 0
  let count = 0
  for(let i = 0; i < dSort.length; i++) {
      if(result > budget|| (result + dSort[i]) > budget) break
        
      result += dSort[i] 
      count += 1
  }
  return count
}
✅ 배열 d의 모든 요소를 더했을 때, budget과 같은 값이면 d의 길이를 반환

✅ 배열 d의 요소를 올림차순으로 정렬한 후, 가장 작은 값부터 하나씩 더해주었다. 
✅ 만약 각 요소를 더해준 result가 budget보다 크거나 result + 다음 더해줄 요소가 budget보다 클 경우, break를 주었다. 
✅ 더해지는 만큼 count + 1씩 증가!

 

 

 

💡 꿀팁(?)

지금 보니 sort는 따로 변수에 담아주지 않아도 되는데.. 왜 담아줬지 ㅎ;

 

 

 

💡 다른 사람 풀이

function solution(d, budget) {
  d.sort((a,b) => a-b)
    
  while (d.reduce((a,b) => (a+b), 0) > budget) d.pop()
    
  return d.length
}
✅ 위에 코드는 나처럼 작은 수부터 더해준 것이 아닌, 전부를 더해줘서 뒤에서부터 조건에 맞을 때까지 요소를 하나씩 제거해 주었다. 오호.. 이렇게도 풀 수가 있구나 🤔